스토리지 버킷이란?
- 버킷: 데이터를 담는 기본 컨테이너
일반적인 사람들이 생각하는 '클라우드'에 엑셀 파일, csv파일 등을 업로드 할 수 있도록 업로드 할 수 있는 저장 공간을 말한다.
굳이 google storage에 넣어야하는가? 에 대해 묻는다면 아래와 같은 대표적인 장점이 있다.
- csv 또는 엑셀로 이뤄진 로컬 파일 데이터를 BigQuery 등으로 전송할 수 있다.
- 구글 클라우드에서 제공하는 프로덕트와 유연한 연계가 가능
1. 스토리지 버킷 만들기 클릭
Google Console에서 프로젝트를 선택한 뒤 메인 화면 -> 스토리지 버킷 만들기 선택
(메인 화면을 못찾았다면, 좌상단의 햄버거 버튼 클릭 -> Storage)
2. 버킷 이름 설정
버킷 이름 지정 및 기타 다른 설정을 선택할 수 있다. 이름을 짓는데는 여러 가지 룰 및 권장 사항이 있는데, 이는 아래의 공식 문서를 참고하자.
나의 경우 mydata-sample로 설정하였다.
https://cloud.google.com/storage/docs/buckets?hl=ko
Cloud Storage 버킷 정보 | Google Cloud
의견 보내기 Cloud Storage 버킷 정보 컬렉션을 사용해 정리하기 내 환경설정을 기준으로 콘텐츠를 저장하고 분류하세요. 이 페이지에서는 Cloud Storage의 리소스인 버킷을 설명합니다. Cloud Storage 작
cloud.google.com
3. 공개 액세스 설정
버킷 기본 설정으로 공개 액세스가 차단되어 있으므로, 호스팅 등의 이슈가 없다면 설정하는 것이 좋다.
확인 클릭
4. 생성한 버킷 확인
확인까지 누르고 나면 위와 같은 버킷이 생성된다. 중간의 파일 업로드, 폴더 업로드, 폴더 만들기를 이용하여 구글 드라이브처럼 사용할 수 있다. 나는 파일 업로드를 통해 테스트용 csv 파일을 하나 업로드했다.
5. 파일 업로드
파일 업로드 버튼을 클릭해 원하는 파일을 생성할 수 있다.
버킷 생성 및 파일 업로드는 굉장히 간단하고 UI로 작성 가능하다. 사실 업로드가 중요한 것 보다는 이를 통해 확장시킬 수 있는 다른 프로덕트를 어떻게 유연하게 사용할 것인지가 더 중요하고, 버킷에서 가져온 나의 로컬 데이터 뿐만 아니라 로컬 MySQL 워크벤치로 작업할 수 있는 Cloud SQL 서버, 이를 대시보드(루커스튜디오)에 연결하는 방법, BigQuery의 사용까지.. 삽질을 하면서 얻은 GCP의 다양한 기능들을 살펴볼 예정이다.
많관부
'Cloud Platform' 카테고리의 다른 글
[GCP] 구글 클라우드에 데이터 올리기 1. 계정 및 프로젝트 생성 (2) | 2022.11.12 |
---|